계단참 3로스위치
아래 '그림1'은 '다세대(좌우) 주택의 계단참 3로스위치 배관도'이다.
각층의 세대출입구 앞 전등은 센서등으로, '층간 계단참 전등'은 3로스위치 조작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계단참 전등의 경우, 골조 배관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배선 및 결선이 달라질 수 있으나, 현장에서 편하게 배선 및 결선하기 위한 표준 배관을 기준으로 삼았다.
계단참: 층과 층의 중간에, 계단을 오르내릴 때 발걸음을 쉬기 위해, 또는 돌아올라가는 부분에 조금 넓게 만들어진 계단의 일부분.
원래 5층 건물이나,
2층~5층은 1층~2층과 배선이 똑같으므로 생략하였다.
'그림1' 다세대(좌우) 주택의 계단참 3로스위치 배관도
'그림2' 지하1층 평면도
'그림2'에서
세대출입구등(LB1) 박스에 연결된 입상(우상향 화살)표식은 LB1박스에서 지상1층우의 S3(LB-1/D) SW BOX로 연결된 배관을 의미한다.
S3(LB-1/D)는
지상1층 우측에 설치된 3로스위치(S3)로서 지하1층과 지상1층의 중간에 설치된 계단참등(LB-1)을 내려가면서(D) 조작하는 스위치 임을 의미한다.
S3(LB-1/U)는
지하1층 좌측에 설치된 3로스위치(S3)로서 지하1층과 지상1층의 중간에 설치된 계단참등(LB-1)을 올라가면서(U) 조작하는 스위치 임을 의미한다.
'그림3' 지하1층 결선도
'그림3'에서
공용전기 분전반으로 가는 선은 적색(전압선)과 백색(중성선)이며 AC220V를 공급하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한다.
등공통(등에 직접 연결되는 선)은 중성선(백색선)으로, 스위치공통(스위치 1차측에 연결되는 선)은 전압선(적색선)으로 한다.
연락선은 녹색으로 하고, 등선(스위치 2차선)은 황색으로 한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본 링크(전등배선시 색갈 정하는 법)을 눌러 참조하기 바람
2011-1206 업데이트
'그림4' 지상1층 평면도
'그림5' 지상1층 결선도
'그림6' 옥탑층 평면도
'그림7' 옥탑층 결선도
복도등 3로 및 4로 스위치
아래 '그림8'은 3로 및 4로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가상적인 상황을 부여한 평면도으로서,
각 룸마다 출입구를 통해 복도에서 룸으로 들어가거나 룸에서 복도로 나올 때 3로 또는 4로 스위치로 편하게 복도등을 켜고 끄게끔 하기위한 배선평면도이다.
고로 각 룸의 출입구 부근에(복도측) 스위치를 설치한다.
'그림8' 복도 3로 및 4로 스위치 평면도
아래 '그림9'에서
적색선이 스위치 공통(전압선), 흑색선이 등공통(중성선)이다.
다개소(3개 이상) 점멸스위치 방식은 맨 처음과 끝에 3로스위치를, 중간에는 4로스위치들을 설치하여야 한다.
'그림9' 복도 3로 및 4로 스위치 결선도
'그림10'
단로 또는 3로 및 4로 스위치 결선시
'그림10'과 같이 흘러 들어오는 전류와 흘러 나가는 전류의 합이 0(제로)가 되어야 한다.
이는 함께 배선되는 선들이 교류전류가 흘러 발생된 전자력을 서로 상쇄되게 하여 주변의 통신기기 등에 전자적인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이다.
복도등 L3에서 S3-2로 배관을 연결하여 직접 스위치 공통(전압선)을 연결하면
스위치 공통(전압선)을 구태여 '복도등 L3' - '삼로스위치 S3-1' - 4로스위치 S4-1' 을 통해 S3-2까지 돌릴 필요가 없이 연락선 2 가닥만 돌리면 될 것이다.
허나 위에서 설명한 전자적인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힘이 들어도 스위치 공통(전압선)을 한 바퀴 돌린 것임을 유념하기 바란다.
'♣♣ 전기 & 방송 & 통신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무용 테이블의 이동형 전열 및 전화 멀티 콘센트(간편 취부형) (0) | 2012.04.02 |
---|---|
대형빌딩 옥상 옥외광고판넬 순차점등회로 (0) | 2011.12.16 |
백화점 성탄조명(LED) 설치작업 (0) | 2011.11.19 |
일반쓰레기 및 음식물쓰레기 투입구 (0) | 2011.11.19 |
유도전동기 / 리액터 기동 & 기동보상기 기동 (0) | 201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