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R(FloatLessRelay;수위계전기)[flout]플로우트

 

 

외형은 위 그림과 같고,

보통은 현장에서 흔히들 '후루드스위치'라고 하는데 원명은 '후루드래스릴레이(이하 수위계전기)'이다.

후루드는 '부자(공)'을 의미하고, 레스는 후루드에 붙여서 '...없는', 즉 '부자가 없는...'이란 말이고, 릴레이와 합하면 '후루드(공)밸브없이 전기적으로 급배수를 제어하는 릴레이라는 뜻이 된다.

 

부자는 원형의 플라스틱 재질의 공으로서,

빌딩이나 공장 등의 상수도 라인에서 수조의 급수파이프 말단에 위치하여 부력에 의해 밸브를 개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빈번한 개폐로 인한 잦은 고장이 발생하므로 불편하기 짝이 없다.

 


수위계전기는 전극봉에 의해 물에 전류를 흘려서 수위를 제어한다.

물에 전류를 흘린다니까 감전을 걱정하겠지만, 제어부는 AC220V를 AC10V(저감도형) 또는 AC20V(고감도형)으로 공급하므로 감전의 대한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전극봉 대신 내부에 접점이 내장된 오뚜기(부자의 일종)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동작원리는 전극봉과 동일하다.


아래 그림은 수위계전기의 내부연결도이다.

E1, E2, E3 전극봉이 수위에 의해 마치 푸시버튼스위치처럼 동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극봉 E1-E2와 E2-E3 간은 서로 독립된 2개의 접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서로 물(도체성분)을 통하여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두 개의 전극이 물을 통해 서로 통하는 상태를 '1'이라 하고

두 개의 전극이 한 전극만 또는 양쪽 모두 물에서 떨어져서 통하지 않는 상태를 '0'이라고 한다.


접접의 상태를 정리한다면,

물에 의해 통하는 상태이면 붙고, 물에 의해 통하지 않는 상태이면 떨어지는 'a'접점이라고 할 수 있다.


아래는 <배수> 시의 결선도이다.

수위가 전극봉 E1에 다달으면 배수(ON)가 시작되고, 전극봉 E2 미만으로 떨어지면

정지(OFF)한다.

전극봉은 집수정에 설치해야 하며, 자동입력접점으로 FLR의 3번과 4번 접점을 이용한다.


펌프 흡입관의 레벨은 E2의 레벨보다 낮아야 펌프가 공회전 하지 아니한다.


아래는 <수위계전기를 이용한 급/배수회로의 동작 테이블>인데

배수과 급수의 동작패턴은 서로 반대이다.


<수위계전기를 이용한 급/배수회로의 동작 테이블>


아래는 <급수> 시의 결선도이다.

수위가 전극봉 E2 미만으로 떨어지면 급수(ON)가 시작되고, 전극봉 E1에 도달하면

정지(OFF)한다.

전극봉은 고수조에 설치해야 하며, 자동입력접점으로 FLR의 2번과 4번 접점을 이용한다.



다음은 오뚜기센서에 대한 동작설명이다.

 


아래에서 좌측부터 ㉮상한점 수위, ㉯유지구간 수위, ㉰하한점 수위 상태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