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 호이스트 결선(신설)을 처음해 봤는데,

어렵지 않은 작업인데도 해보지 않았던 작업이라 애좀 먹었습니다.

아무튼 물어물어 마무리했구요.

(그림1)

 위 그림은 크레인 호이스트의 구조 및 배치도입니다.

 

그림(2)

위 그림은 크레인 호이스트의 주행모터판넬에서 호이스트판넬, 주행모터(1) (2)로 연결되는 전원부 연결도입니다.

 

◆ 배전반의 배선용차단기에서 트롤리부스바 말단 쪽을 3C 케이블을 통하여 3상380V를 공급하고,

이동식 트롤리부스바 접촉자에서 주행모터판넬의 전원단자(R,S,T) 역시 3C 케이블로 연결하고,

주행판넬에서 같은 상 단자끼리 점퍼된 전원단자(R,S,T)와

 호이스트 판넬의 전원단자(R,S,T) 를 

장원형 고무캡타이어케이블(전원용4C, 제어용10C)로 연결한다.

 

◆주행모터판넬에서 주행모터(1)과 (2)로는 각 5(6)가닥씩 연결이 되는데

교류전원 RST 3C와 제동장치(브레이크)용 직류전원 PN 2(3)C가 연결된다.

주행모터(1)과 (2)로 연결되는 5(6)C는 제어부를 통해 전원의 공급/차단이 된다.

 

그림(3)

위 그림(3)을 보면

주행모터는 3상 380V/220V 이중전압 6선 모터이고, 브레이크가 내장되어 있다.

델타결선하면 220V, 와이결선하면 380V 전압에 사용할 수 있다.

와이결선시, 1,2,3은 R,S,T에 4,5,6은 함께 묶어서 콤몬시킨다.

 

◆ 내장된 브레이크는 직류전자석에 의해 동작되며,

평상시에는 여자(전압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로 기계적인 제동상태로 있고

주행모터전압이 공급될 때에만 동시에 직류여자되면서 전자석으로 제동상태를 해제한다.

 

주행모터주행모터제어부, 내장된 브레이크브레이크용 정류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 및 차단이 된다.

 

◆ 브레이크용 정류부를 보면 교류전원1차에 R과 X가 연결되며

2차의 직류출력쪽을 보면 P(+), N(-)가 주행모터 내부의 브레이크 코일 P(+), N(-)에 연결된다.

 

이때 X단자는 2대의 주행모터 중 1대만 와이결선의 4,5,6을 함께 묶은 콤몬단자에 연결하여 브레이크용 정류부입력전원으로 사용한다.

 

고로 주행모터제어부로부터 주행모터 쪽으로 구동전압이 전달될 때에만 브레이크용 정류부에 전원이 인가되고, 모터 내장 제동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동상태가 해제되어 주행모터가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X단자는 제동코일전원 인가관련되어 있으므로 주행모터 두 대중 한대는 필히 결선하여야 한다.)

 

주행모터판넬에서 호이스트판넬로 연결되어야 할 제어선은 3가닥으로서,

공통선(P), 남향조작선(S01), 북향조작선(N01)이다.

 

◆ 상, 하, 동, 서는 호이스트 판넬에서 유선리모콘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 주행모터(1)과 (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어 동시에 남 또는 북쪽으로 움직인다.

고로 R,S,T 단자에 1,2,3을 똑같이 결선해야 한다.

 

◆ 모터제작사에서 모터를 출고할 때 상회전 검사를 하므로 1,2,3 번 선을 동일한 전원상에 연결하면 회전방향이 똑같게 되나 검사원의 부주의 또는 태만으로 상검사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동일 상결선을 해도 회전방향이 맞지 않을 때도 있으니 주의바람.

 

◆ 이럴때를 생각하여 시운전할 때에는 촌동으로 짧게짧게 움직여서 확인 바람.

(무턱대고 길게길게 움직이면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일 경우 크레인 몸체가 틀어지면서 아래로 추락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유념하기 바람.)

 

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