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 호이스트 결선(신설)을 처음해 봤는데,
어렵지 않은 작업인데도 해보지 않았던 작업이라 애좀 먹었습니다.
아무튼 물어물어 마무리했구요.
(그림1)
위 그림은 크레인 호이스트의 구조 및 배치도입니다.
그림(2)
위 그림은 크레인 호이스트의 주행모터판넬에서 호이스트판넬, 주행모터(1) (2)로 연결되는 전원부 연결도입니다.
◆ 배전반의 배선용차단기에서 트롤리부스바 말단 쪽을 3C 케이블을 통하여 3상380V를 공급하고,
◆ 이동식 트롤리부스바 접촉자에서 주행모터판넬의 전원단자(R,S,T) 역시 3C 케이블로 연결하고,
◆ 주행판넬에서 같은 상 단자끼리 점퍼된 전원단자(R,S,T)와
호이스트 판넬의 전원단자(R,S,T) 를
장원형 고무캡타이어케이블(전원용4C, 제어용10C)로 연결한다.
◆주행모터판넬에서 주행모터(1)과 (2)로는 각 5(6)가닥씩 연결이 되는데
교류전원 RST 3C와 제동장치(브레이크)용 직류전원 PN 2(3)C가 연결된다.
주행모터(1)과 (2)로 연결되는 5(6)C는 제어부를 통해 전원의 공급/차단이 된다.
그림(3)
위 그림(3)을 보면
◆ 주행모터는 3상 380V/220V 이중전압 6선 모터이고, 브레이크가 내장되어 있다.
델타결선하면 220V, 와이결선하면 380V 전압에 사용할 수 있다.
와이결선시, 1,2,3은 R,S,T에 4,5,6은 함께 묶어서 콤몬시킨다.
◆ 내장된 브레이크는 직류전자석에 의해 동작되며,
평상시에는 여자(전압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로 기계적인 제동상태로 있고
주행모터에 전압이 공급될 때에만 동시에 직류여자되면서 전자석으로 제동상태를 해제한다.
◆ 주행모터는 주행모터제어부, 내장된 브레이크는 브레이크용 정류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 및 차단이 된다.
◆ 브레이크용 정류부를 보면 교류전원1차에 R과 X가 연결되며
2차의 직류출력쪽을 보면 P(+), N(-)가 주행모터 내부의 브레이크 코일 P(+), N(-)에 연결된다.
이때 X단자는 2대의 주행모터 중 1대만 와이결선의 4,5,6을 함께 묶은 콤몬단자에 연결하여 브레이크용 정류부의 입력전원으로 사용한다.
고로 주행모터제어부로부터 주행모터 쪽으로 구동전압이 전달될 때에만 브레이크용 정류부에 전원이 인가되고, 모터 내장 제동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동상태가 해제되어 주행모터가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X단자는 제동코일의 전원 인가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주행모터 두 대중 한대는 필히 결선하여야 한다.)
◆ 주행모터판넬에서 호이스트판넬로 연결되어야 할 제어선은 3가닥으로서,
공통선(P), 남향조작선(S01), 북향조작선(N01)이다.
◆ 상, 하, 동, 서는 호이스트 판넬에서 유선리모콘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 주행모터(1)과 (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어 동시에 남 또는 북쪽으로 움직인다.
고로 R,S,T 단자에 1,2,3을 똑같이 결선해야 한다.
◆ 모터제작사에서 모터를 출고할 때 상회전 검사를 하므로 1,2,3 번 선을 동일한 전원상에 연결하면 회전방향이 똑같게 되나 검사원의 부주의 또는 태만으로 상검사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동일 상결선을 해도 회전방향이 맞지 않을 때도 있으니 주의바람.
◆ 이럴때를 생각하여 시운전할 때에는 촌동으로 짧게짧게 움직여서 확인 바람.
(무턱대고 길게길게 움직이면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일 경우 크레인 몸체가 틀어지면서 아래로 추락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유념하기 바람.)
끝~!
'♣♣ 전기 & 방송 & 통신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동/정지 시퀀스(ON우선, OFF우선, 3개소 기동/정지) (0) | 2011.06.01 |
---|---|
랜케이블(UTP) 찍을 때 색갈별 배열 (0) | 2011.06.01 |
평소 잘 들어오던 전등이 갑자기 점등되지 않습니다 (0) | 2011.03.03 |
전원삼로방식과 위험성 (0) | 2011.02.26 |
권선형유도전동기 (0) | 2010.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