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 기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2 (0) | 2013.06.13 |
---|---|
[스크랩] 기타 음계와 화음(코드)의 비밀? (0) | 2013.06.12 |
단음계의 종류-자연_화성_가락 (0) | 2013.06.02 |
단음계 구성하기 (0) | 2013.05.31 |
음정 (0) | 2013.05.29 |
코드2 (0) | 2013.06.13 |
---|---|
[스크랩] 기타 음계와 화음(코드)의 비밀? (0) | 2013.06.12 |
단음계의 종류-자연_화성_가락 (0) | 2013.06.02 |
단음계 구성하기 (0) | 2013.05.31 |
음정 (0) | 2013.05.29 |
음계의 구성음들을 밑음으로 만들어진 코드를 다이어토닉 스케일코드(Diatonic Scale Chord : 음계상의 코드)라고 한다.
원래 다이어토닉(온음계)는 반음계의 변화가 없는 '한 옥타브' 안에 7 개의 '자연음'들을 차례로 늘어놓은 형태를 말한다.
화성단음계는 제7음이 자연단음계일 때보다 반음 올라가기 때문에 6음과 7음의 음정은 온음+반음의 상태가 되므로 사실 온음계(다이어토닉 스캐일)상의 룰에서 벗어 난 상태이다.
그래서 화성단음계의 6음도 반음 올려서 6음-(온음:장2도)-7음의 상태의 가락단음계로 만들어 온음계 본연의 상태로 복원시켰다.
가락단음계의 밑음에 3, 5도 를 쌓은 3음에 의한 음계상의 코드와, 밑음에 3, 5, 7도 를 쌓은 4음에 의한 음계상의 코드를 구성하게 되면 아래와 같다.
(가락단음계상의 코드는 일반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으므로 관련표를 업로드하지 않았으니 아래표를 보고 개별적으로 오선지에 만들어 보기 바람).
※ 아래 악보 중 첫째 줄(상단)의 문자 음계(가락화성단음계) 를 음계(가락단음계)로, 첫째 줄(하단)의 로마문자 Ⅵ과 Ⅶ을 #Ⅵ과 #Ⅶ 으로 바로 잡음.
임시표(#, b)의 효력에 대하여
같은 마디 안에서만 효력이 있고, 마디가 바뀌면 효력을 잃는다.
다만, 붙임줄(tie)에 의해 다음 마디 안의 음에 연결되어 있는 것만 마디가 바뀌어도 효력이 있다.
그러나 같은 마디 안에서도 옥타브 이상의 위 아래 음에 대해서는 효력이 없다.
파일받기
장음계 만들기 (0) | 2013.05.17 |
---|---|
1-15 나란한조, 그리고 장조와 단조의 식스(6)코드에서 유의할 점 (0) | 2013.01.30 |
1-13 음계상의 코드(화성단음계) (0) | 2013.01.27 |
1-12 음계상의 코드(자연단음계) (0) | 2013.01.26 |
1-11 음계상의 코드(장음계) (0) | 2013.01.25 |
음계의 구성음들을 밑음으로 만들어진 코드를 다이어토닉 스케일코드(Diatonic Scale Chord : 음계상의 코드)라고 한다.
원래 다이어토닉(온음계)는 반음계의 변화가 없는 '한 옥타브' 안에 7 개의 '자연음'들을 차례로 늘어놓은 형태를 말한다.
화성단음계는 제7음이 자연단음계일 때보다 반음 올라가기 때문에 6음과 7음의 음정은 온음+반음의 상태가 되므로 사실 온음계(다이어토닉 스캐일)상의 룰에서 벗어 난 상태이나
그래도 화성단음계의 밑음에 3, 5도 를 쌓은 3음에 의한 음계상의 코드와, 밑음에 3, 5, 7도 를 쌓은 4음에 의한 음계상의 코드를 구성하게 되면 아래와 같다.
화성단음계(Natural Minor Scale)
그림 1)
임시표(#, b)의 효력에 대하여
같은 마디 안에서만 효력이 있고, 마디가 바뀌면 효력을 잃는다.
다만, 붙임줄(tie)에 의해 다음 마디 안의 음에 연결되어 있는 것만 마디가 바뀌어도 효력이 있다.
그러나 같은 마디 안에서도 옥타브 이상의 위 아래 음에 대해서는 효력이 없다.
위 그림 1)이나 아래 그림 2)의 악보에서는 편의상, 옥타브 이상의 위 아래 음에 대해서도 효력이 있는 것으로 본다.
화성단음계(자연단음계의 제7음을 반음 올림)의 밑음에 3음 또는 4음의 화성을 쌓아 올리다 보니 자연단음계와는 다른 코드들이 생겨나는데 변화된 코드들 중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코드는 아래 그림 2)에 표시한 코드 들이다.
그림 2)
먼저, C+5코드와 Caug코드는 동일한 코드인데 구성음들 간의 음정을 따져보면?
자연단음계에서 3도(세번째) 코드인 C코드의 경우 'C(온음 2개:장3도)E(온음+반음:단3도)G'='C(반음 4개)E(반음 3개)G' 의 음정인데,
화성단음계에서 3도(세번째)의 3음에 의한 코드는 5도음이 화성단음계의 제7음에 해당되어 반음 올리다보니 C+5코드가 탄생되는데 C코드의 제5음(G)을 반음 올려 G#이 되어 'C(온음 2개:장3도)E(온음 2개:장3도)G#'='C(반음 4개)E(반음 4개)G#' 의 음정이 된다.
C+5코드에 장7도음을 쌓으면 CM7+5코드가 된다.
G#m-5코드와 G#dim코드도 같은 코드이다.
화성단음계에서 7도(일곱번째)의 3음에 의한 코드는 밑음인 1도음이 화성단음계의 제7음에 해당되어 반음 올리다보니 'G#(반음+온음:단3도)B(반음+온음:단3도)D'='G#(온음 반:단3도)B(온음 반:단3도)D' 의 음정이 된다.
G#dim코드에 단7도음을 쌓으면 G#dim7코드가 된다.
조표가 있는 악보에 붙은 임시표의 효력
아래는 화성단음계의 '4음에 의한 음계상의 코드'의 일부인데
그림의 상단 악보(조표로 #이 7개 붙은 A#m화성단음계)를 보면 '가' 부분에 조표 중 G음에 이미 올림표가 붙어 있는 G#의 상태이다.
자연단음계에서 화성단음계로 되려면 자연단음계의 제 7음인 G#(나, 다, 라, 마, 바의 부분)을 모두 반음씩 올려 줘야 하는데, G#에서 반음 더 올리면 A가 되나 A에 표시하지 않고 G에 겹올림표(X:##)를 붙여서 표시한다.
일단 '나' 부분에 첫 겹올림표가 붙으면 같은 옥타브인 다, 라, 마, 의 부분까지는 같은 효력이 지속된다.
문제는 바의 부분인데, 이부분은 첫 겹올림표가 붙은 음보다 한 옥타브 위의 음이기 때문에 효력이 없다. 따라서 다시 결올림표를 붙여줘야 한다.
위 그림의 하단 악보(조표로 b이 5개 붙은 Bbm화성단음계)를 보면 '사' 부분에 조표 중 A음에 이미 내림표가 붙어 있는 Ab의 상태이다.
자연단음계에서 화성단음계로 되려면 자연단음계의 제 7음인 Ab(아, 자, 차, 카, 타의 분)을 모두 반음씩 올려 줘야 하는데, Ab에서 반음 더 올리면 A음이므로 A음에 제자리표를 붙여서 표시한다.
일단 '아' 부분에 첫 제자리표가 붙으면 같은 옥타브인 자, 차, 카, 의 부분까지는 같은 효력이 지속된다.
문제의 바의 부분은 위 경우와 같이 첫 제자리표가 붙은 음보다 한 옥타브 위의 음이기 때문에 효력이 없다. 따라서 다시 제자리표를 붙여줘야 한다.
파일받기
12 화성단음계표-다이어토닉 스캐일 코드(3화음)표.pdf
12 화성단음계표-다이어토닉 스캐일 코드(4화음)표.pdf
1-15 나란한조, 그리고 장조와 단조의 식스(6)코드에서 유의할 점 (0) | 2013.01.30 |
---|---|
1-14 음계상의 코드(가락단음계) (0) | 2013.01.28 |
1-12 음계상의 코드(자연단음계) (0) | 2013.01.26 |
1-11 음계상의 코드(장음계) (0) | 2013.01.25 |
1-10 음자리표 (0) | 2013.01.23 |
음계의 구성음들을 밑음으로 만들어진 코드를 다이어토닉 스케일코드(Diatonic Scale Chord : 음계상의 코드)라고 한다.
원래 다이어토닉(온음계)는 반음계의 변화가 없는 '한 옥타브' 안에 7 개의 '자연음'들을 차례로 늘어놓은 형태를 말한다.
자연단음계(Natural Minor Scale)
나란한 조인 C장조(C)와 자연단음계인 A단조(Am)의 (3음에 의한 음계상의 코드) 비교
아래의 그림에서, 위에 나열된 음계는 첫음이 'C'(계명:도)부터 시작되는 C장조이고, 아래애 나열된 음계는 첫음이 'A'(계명:라)부터 시작되는 A단조 이다.
잘 살펴 보면 돗 수만 다를 뿐, 같은 음(계명)에서의 코드가 같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장조의 Ⅰ도음인 C음(계명:도)위에 형성되는 3음에 의한 음계상의 코드(C)와, 단조의 Ⅲ도음인 C음(계명:도)위에 형성되는 3음에 의한 음계상의 코드(C)가 같음을 알 수 있다.
4음에 의한 음계상의 코드 역시 장음계와 자연단음계가 같은 음(계명)끼리는 동일하다.
파일받기
11 자연단음계표-다이어토닉 스캐일 코드(3화음)표.pdf
11 자연단음계표-다이어토닉 스캐일 코드(4화음)표.pdf
1-14 음계상의 코드(가락단음계) (0) | 2013.01.28 |
---|---|
1-13 음계상의 코드(화성단음계) (0) | 2013.01.27 |
1-11 음계상의 코드(장음계) (0) | 2013.01.25 |
1-10 음자리표 (0) | 2013.01.23 |
1-09 코드(Chord;화음) (0) | 2013.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