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건반의 경우

힌 건반을 원음(또는 자연음)이라 하고 검은 건반은 사이음이라 합니다.

  

 

 

오선지 상의 경우에는

샆(#)이나 플랫(♭)이 붙지않은 음이 원음에 해당되고,

아래의 '오선지 상의 원음'과 같이 음명 C, D, E.....C로 불리워 집니다.

절대로, 계명 도, 레, 미... 도로 불리어서는 안 됩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차후 자세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원음(음명 C~C)에서 서로 간에 음정관계는

(C-D-E-F-G-A-B-C)

 

 

C~C까지, E-F와 B-C 간은 반음이며(음 사이에 검은 건반이 없음) 

나머지 C-D, D-E, F-G G-A, A-B 간음 온음입니다(음 사이에 검은 건반이 있음)

 

이 음정(반음 과 온음)관계는 고정적이므로

피아노건반 상이나 오선지 상에서 절대 불변 음정관계임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원음에 샆(#)이 붙으면 원음에서 반음 올라간 사이음이고

원음에 플랫(♭) 붙으면 원음에서 반음 내려간 사이음입니다.

 

원음의 경우 옥타브(C에서 B)에 존재하는 음은 7개이고

원음 & 사이음을 통털을 경우 옥타브(C에서 B)에 존재하는 음은 12개(12반음)입니다.

 

12반음은,

장조와 단조가 각각 12개의 조가 형성되는데 으뜸(토닉)음의 역활을 하게 되므로

꼭 기억해두어야 합니다.

 

 원음 & 사이음(12음)

 

 

 

올림표(#)로 된 경우: C-C#-D-D#-E-F-F#-G-G#-A-A#-B(빨간색:원음, 흑색:사이음)

      C에서 B까지 음간이 모두 반음정입니다.

내림표(♭)로 된 경우: C-D♭-D-E♭-E-F-G♭-G-A♭-A-B♭-B(빨간색:원음, 흑색:사이음)

      C에서 B까지 음간이 모두 반음정입니다.

 

 

  

 

 

검은 건반(사이음)들을 보면,

예를 들어 C건반과 D건반 사이에 있는 검은 건반을 보면,

위에는 C#, 밑에는 D♭이라고 적혀 있는데

건반 한 개에 이름이 다른 음명 2 개가 적혀 있다고 해서 서로 다른 음이 아니고,

 

C에서 반음을 올려 샾(#)을 붙여 C# 음명이 되고,

D에서 반음을 내려 플랫(♭)을 붙여 D♭음명이 되었으므로

결과적으로 같은 음입니다.

 

이렇게 올림표 또는 내림표로 인한 기준에 의해 음명은 다르지만  동일한 음일 경우

우리는 이를 이명동음이라고 말합니다.

 

기준음에 대하여

 

보통 기준을 C음에 두는데

소생의 경우에는 A음에 기준을 둡니다(뭐, 기준을 C에 두나 A에 두나 거기서 거기겠지만)

 

그 이유는?

악기 튜닝할 때 A음(440㎐)이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에다 궁색한 변명을 더한다면...

피아노의 맨좌측에서 첫 건반이 A건반이고, 알파벳의 첫 글자가 A이고,

한글의 첫 단어가 '가'이기 때문입니다. 

 

 

 

위 그림에서 '가온'C'라고 표기되어 있는 건반이 '중심음'입니다.

'가온'C'를 가온'도'라고 표시한 관련서적이 있는데

소생 개인적으로는 못마땅합니다.

그 이유를 아래에 설명합니다.

 

가온(가운데) 계명 C장조일 경우에만 '도'입니다.

이동도법의 경우에,

장조는 첫음의 계명이 도가 되고

단조는 3번째음의 계명이 도가 됩니다.

 

예를 들어서

 

C(다)장조의 경우, C() D(레) E(미)...

D(라)장조의 경우, D() E(레) F#(미)...

키가 달라도 계명(도, 레, 미.....도)간 음정은 똑 같습니다.

 

A(가)단조(Am)의 경우, A(라) B(시) C()...

D(라)단조(Dm)의 경우, D(라) E(시) F()...

단조 역시, 키가 달라도 계명(라, 시, 도.....라)간 음정은 똑 같습니다.

 

이렇듯

장조와 단조는 키(스케일의 첫음)에 따라

계명 '도'나 '라'의 위치가 변하는데 이를 이동도법이라 말합니다.

 

이동도법은 조바꿈에서 스케일을 이해하는데 기초가 되므로 엄청 중요합니다.

C, D, E... 이렇게 표기되는 것은 음명이라 하고

도, 레, 미... 이렇게 표기되는 것은 계명이라 합니다.

 

이동도법은 오선지나 피아노 건반 상에서

음명의 위치는 불변이고, 계명의 위치는 유동(이동)적입니다.

 

그래서 가온C라고 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설명이 어렵나요?

^^ 집중해서 차분하게 읽어보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