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Ray5000System 콘트롤러   www.ffeuk.com  

 

설치높이 20M 이상, 감시거리 100M, 폭 15M의 아날로그식 감지기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형이라서 분리식처럼 발, 수광부로 별도의 배선이 연결될 필요가 없어 좋다.

반사판은 감지기와 마주 보는 곳에 설치하되, 중간에 시야를 가로막는 장애물이 없어야 하며 감지기의 발광부에서 발사된 빛을 감지기의 수광부로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외국제품(UK, US).

 

 

아래는 

Zone 1(Zone 2도 동일)의 종단저항 처리를 Fire Con A의 N/O와 Fault Con B의 N/C에 했는데 현장에서 통상적으로 하던 방식과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폴트 신호를 수신기 또는 중계기로 선로단선 상태(간접적)으로 입력하는 결선

 

본인이 나름대로 그 이유를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음.

 

Fault 신호가 없는 정상 상태의 경우에는  종단저항이 Fire Con A의 N/O와 Fault Con B의 N/C에 연결되어 있어서 Fault Con B의 접점이 N/O로 절환되지 않는 한 수신반에서는 선로가 정상상태로 확인된다.

 

 

 

 Fault 신호가 발생된 비정상 상태의 경우(아래 그림)에는  종단저항이 끊어진 상태로 되어 수신반에서는 선로의 단선상태로 확인되므로

 

고로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Fault Con B의 접점절환에 의해 종단저항이 Com과 분리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물론 수신기에서는 폴트에 의해 종단저항이 분리된 것인지, 아니면 실제로 선로가 단선상태인지 확인이 되지 않으므로 두 가지 다 점검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

 

 

아래의 방식에 비하면 절반 정도의 안전을 보장하지만 그런대로... ^^

 

외부복구는 필요 시 사용.

 

아래는 화재신호와 이상신호를 수신기 또는 중계기로 각기 독립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결선으로서 통상적인 작업방법과 다르지 않음을 알 수가 있다.

Zone 1만 표시했으나 Zone 2도 동일한 결선.

 

확실한 안전을 보장 받고 편의성을 추가하려면

(좋고 편안한 시스템을 갖추려면 한도 끝도 없겠지만)

중계기 또는 수신기로의 폴트입력함께 ExtReset 기능도 함께 사용해야 한다.

 

폴트 신호를 수신기 또는 중계기로 독립적으로 입력하는 결선

 

http://tv.kakao.com/channel/2926774/cliplink/375047498

 

 

은 하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