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최근에 작업한 대전DOO BD(지상12층 지하4층 리모델링 현장) 지하 주차장(자동주차기) 프리액션밸브의 교차회로 방식 감지기의 배관배선 그림이다.
수도권 인력들 데려다 작업했다는데, 이전 작업자들이 여러 번 바뀌면서 배선과 결선이 통일되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사방팔방 개판오분전 상태인 것을 본인이 해결해 줌(애좀 먹었음 ^^).
아래 도면에 표시한 감지기의 수량은
설명을 위해 간단하게 일부만 표시했기 때문에 실제 감지기 수량보다는 적음.
일반 자탐 감지기, 또는 교차회로방식 감지기를 불문하고
감지기의 배선과 결선에 대한 기본은 동일하다.
- 송/배전 방식일 것.
- 귀로(회로/공통 쪽)이든 종단(종단저항 쪽)이든 한 쪽에서 부터 배선이 시작되면
첫 번째 감지기에서 말단 감지기 까지 순차적으로 송배전 방식으로 연결되어져야 하며,
감지기에 연결되는 선은 동일한 방향의 선들로 함께 구성되어져야 한다.
이는 동일감지기에 한선은 시작쪽 선을, 또 다른 한선은 끝쪽선을 연결하지 말라는 뜻과 어떤
감지기는 귀로측(회로/공통 쪽 선)에서 따고, 어떤 감지기는 종단측(종단저항쪽 선)에
서 따지 말라는 뜻. 그렇지 않을 경우 선로가 단선났을 때 고장보수가 용이하지 않음.
아래는 두 가지 방식의 배선방식이다.
서로의 차잇점과 장단점은 무엇인지 각자 연구해보기 바람.
끝~! 좋은 하루 ^^
'♣♣ 소방전기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밸브주의스위치인 템퍼스위치(T/S)는 종단저항 취부를 요렇게 (0) | 2015.09.15 |
---|---|
옥외변압기 일제개방밸브 설비 (0) | 2015.09.11 |
소공간 자동소화장치(하론) (0) | 2015.07.24 |
소화전MCC 제어부(집합형 ) (0) | 2015.07.16 |
소화전MCC의 자기유지 기능과 로컬(수동)상태 감시회로 (0) | 201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