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류는 1주기에 (+)파형 한 개와 (-)파형 한 개를 형성한다.
먼저 (+)파형일 때는, 전압이 OV인 0˚점에서 최대전압인 90˚점으로 증가했다가
다시 전압이 OV인 180˚점으로 감소하여 1/2주기의 (+)파형을 형성하며,
(-)파형일 때에도 OV인 180˚점에서 최대전압인 270˚점으로 증가했다가
다시 전압이 OV인 360˚점으로 감소하여 나머지 1/2주기의 (-)파형을 형성한다.
이런 1주기(+/-)파형을 초당 몇 개 형성하는냐를 주파수(f)로 표현하는데
대한민국은 초당 60주기이므로 전원의 주파수는 60Hz이다.
세계 각국은 50Hz 또는 60Hz를 사용한다.
3상 3선식 Δ 결선에서 상전압(vp)과 선간전압(vl)은 동일하다.
예를 들어 각각 120˚전기적 위상 차를 가지는 정격(상)전압이 220V인 세 개의 단상교류를 Δ 결선하면 상전압과 선간전압은 동일한 220V이다.
3상 4선식 Y 결선에서 선간전압(vl)은 상전압(vp)의 루트3배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각각 120˚전기적 위상 차를 가지는 정격(상)전압이 220V인 세 개의 단상교류를 Y 결선하면 선간전압(vl)은 상전압(220V)의 루트3배인 380V 이다.
2개의 단상 교류가 서로 동일한 위상으로 합해진다면 1상전압의 2배가 되나, 상호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교류가 합해지기 때문에 1상전압의 2배가 아닌 루트3배의 전압이 되는 것이다.
여기 까지는 부하 측에 공급되는 전원 측의 Y 또는 Δ 결선이고,
지금 부터는 공급전원에 대한 부하 측의 Y 또는 Δ 결선이다.
전원이 3상3선식 380V일 경우
220V 단상부하(심야보일러의 히터 등)를 Y결선하면 3상 380V 전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정격이 3상 220V의 Δ 결선된 전동기를 Y결선으로 변경하여 3상 380V 전원에서 사용할 수 있다.(3상 6선 모터 중에서 Δ 결선하면 3상 220V에, Y결선하면 3상 380V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터가 해당).
이렇게 결선을 바꾸면 하이-로우 전압에 사용할 수 있는 3상전동기를 이중정격전압 전동기라고 한다.
주의할 점.
전동기의 코일의 정격전압이 이중정격전압인 3상 220V 델타 6선모터)를 3상 380V 전원에서 와이-델타 기동을 적용해서는 절대 안 되며(코일 소손됨), 이럴 경우 인가된 전압의 정격과 동일한 3상 380V 델타 형식의 6선모터를 사용 해야 한다
전원이 3상3선식 220V일 경우
220V 단상부하를 Δ 결선하여 3상 220V 전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정격이 3상 380V의 Y 결선된 전동기를 Δ결선으로 변경하여 3상 220V 전원에서 사용할 수 있다.(3상 6선 모터 중에서 Δ 결선하면 3상 220V에, Y결선하면 3상 380V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터 해당).
'♣♣ 전기 & 방송 & 통신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류3상부하의 Δ결선과 Y결선의 차이 (0) | 2016.01.04 |
---|---|
와이-델타 제어회로(일반과 고급) (0) | 2015.12.23 |
아파트 전등스위치(르그랑 제품) 결선 및 세대분전반 A.P.U (0) | 2015.08.28 |
누전 상태인데도 누전차단기가 트립되지 않는 이유가 뭘까? (0) | 2015.08.01 |
상가 골조배관할 때 예비배관을 고려한다 (0) | 2015.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