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등의 건반에서,

흰 건반자연음 또는 원음이라 하며, 검은 건반(흰 건반과 흰 건반의 중간에 있는)을 사이음이라 한다. 

 

위 그림의 건반에 존재하는 자연음(원음-흰건반)을 아래에 악보로 표현하면 

조표(올림표# 또는 내림표b)가 하나도 없는 상태로 그려진다.

각 음들 간의 온음반음 상태와 음명의 위치는 불변의 상태이므로 이를 꼭 기억해야 한다.

위 악보에서 음을 읽을 때, 보통 음명(C, D, E, F.....C)를 계명(도, 레, 미, 파.....도)으로 읽는데, 이는 잘못된 방법이므로 필히 음명으로 읽어야 올바른 방법이다.

그 이유는, 음명위치가 불변이지만, 계명에 따라 그 위치가 변하기 때문인데 추후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중요한 이론이므로 꼭 기억해야 한다).

 

검은 건반에 해당하는 사이음을 악보로 표현하면, 

 

올림표로 된 C#과 내림표로 된 Db...은 이명동음(딴이름 한소리)이라 하며, 음명은 다르나 같은 음임을 의미한다.

 

1. 원음(흰건반) 간의 음정

흰건반과 흰건반 사이에 검은건반이 존재할 경우: 온음(반음+반음)=장2도

'예' C-D, D-E, F-G, G-A, A-B

흰건반과 흰건반이 건반 간에 검은건반이 없이 붙어 있을경우: 반음=단2도

'예' E-F, B-C

2. 원음(흰건반)과 사이음(검은건반) 간의 음정

원음과 그에 인접한 사이음 간은 반음정이 된다.

'예' C-C#(Db), C#(Db)-D...

 

학습 포인트

자연음(원음)-흰건반

사이음-검은건반

자연음과 사이음의 음명-C-C#(Db)....

자연음 간, 또는 자연음과 사이음 간의 음정(온음 또는 반음)

음명-위치와 음들 간의 음정은 불변,

계명-계명 간의 음정은 불변, 계명의 위치는 유동적

 

 

위 그림은 피아노 건반에서의 흰건반(원음 또는 자연음)에 대한

음명과 음정관계를 나타낸 것입니다.

 

원음(흰건반) 중에서도

서로 온음정 관계인 C-D-E 사이와 F-G-A-B 사이에는 검은 건반이 있고(반음+반음=반음2개=온음),

서로 반음정 관계인 E-F 사이와 B-C 사이에는 검은 건반이 없음을 눈여겨 봐야 합니다.

 

C, D, E.....C 등은 음명이라 하고,

온음, 반음 등은 음정(온음정, 반음정)이라 합니다.

 

아래 그림은 오선지에서의 원음(자연음)에 대한

음명과 음정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피아노 건반과 동일한 음의 위치를 오선지로 표시한 것입니다.

 

맨 좌측의 C음은 '가온C'로서 모든 음의 중심(기준음과는 다름)이 되는 음입니다.

 

 

 

 

 

 

위 그림이 잘 안보이면 아래의 그림을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

 

 

피아노 흰 건반의 원음명(A0-C8).bmp

 

피아노의 원음(흰 건반)을(A0-C8) 오선지에 표.bmp

 

피아노의 원음(흰 건반)을(A0-C8) 오선지에 표.bmp
1.36MB
피아노 건반의 음명(최신).bmp
0.83MB
피아노 흰 건반의 원음명(A0-C8).bmp
0.71MB

+ Recent posts